본문 바로가기
상식

#15 거미는 왜 곤충이 아닐까?

by 상식이야기 2024. 2. 17.
반응형

 

거미가 곤충이 아닌 이유는 몸의 구조와 다리의 개수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곤충은 절지동물 중에서도 특히 육각동물문에 속하는 동물로, 몸이 세 부분(머리, 가슴, 배)으로 나뉘어 있고, 세 쌍(6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거미는 절지동물 중 거미강에 속하는 동물로, 몸이 두 부분(머리흉부와 배)으로 나뉘어 있고, 네 쌍(8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몸의 구조적 차이 때문에 곤충과 구분되며, 거미는 거미류에 속하게 됩니다. 거미류는 또한 독샘과 집게발(턱발)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처럼 몸의 구조와 다리의 개수에 따른 차이는 거미와 곤충을 구분짓는 주요 기준이 됩니다.

 

추가로 설명하자면 

 

거미와 곤충을 구분하는 또 다른 중요한 차이점은 그들의 생식, 호흡, 그리고 먹이를 취하는 방식에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들을 추가로 설명하겠습니다:

  1. 호흡기관: 곤충은 대부분 기관으로 호흡합니다. 기관은 몸의 옆면에 있는 작은 구멍(기공)을 통해 공기가 들어가고 나오는 시스템입니다. 반면에, 거미는 책허파와 기관을 사용하여 호흡합니다. 책허파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책의 페이지처럼 여러 겹으로 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와 혈액 사이의 가스 교환이 일어납니다.
  2. 생식: 곤충의 생식 과정은 종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부분 외부 수정을 합니다. 반면, 거미는 일반적으로 수컷이 직접 암컷의 생식기로 정자를 전달하는 내부 수정을 합니다. 수컷 거미는 종종 특별한 구조물을 사용하여 정자를 암컷에게 전달합니다.
  3. 먹이 취득 방식: 대부분의 곤충은 입이나 빨판 등을 사용하여 액체나 고체 형태의 먹이를 섭취합니다. 반면, 거미는 대부분 포식자로, 먹이를 잡은 후 소화액을 주입하여 먹이의 내부를 액화시킨 다음 이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영양분을 섭취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거미가 고체 먹이를 소화할 수 있게 해 줍니다.
  4. : 곤충의 눈은 대부분 복안(여러 개의 작은 눈이 모여 있는 구조)인 반면, 거미는 단안(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보통 8개입니다. 거미의 눈 구조는 먹이를 찾고, 짝짓기 상대를 구별하며, 환경을 인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렇듯 거미와 곤충은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절지동물이지만, 몸의 구조, 호흡 방식, 생식 과정, 그리고 먹이를 취하는 방식 등 여러 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m28U1kzVnSE?si=X0RF2SGdqHzqSghZ

 

 

 

2024.02.17 - [상식] - #14 초능력은 존재할까?

 

#14 초능력은 존재할까?

초능력에 대한 존재 여부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 없습니다. 초능력이라고 불리는 현상들 예를 들어 텔레파시, 염력, 예지능력 등은 과학적 연구와 실험을 통해 확인되거나 일반적으로 인정받

insighttunnel.tistory.com

 

반응형